아마도 해당 내용은 샤프 전자사전 RD-EM300 모델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이 듭니다. 전자사전을 사용하다 보면 자신이 원하는 사진 등이 있는데. 해당 전자사전에서 자신이 원하는 배경화면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자신이 좋아하는 배경사진을 포토샾 등으로 불러옵니다. 저는 GIMP를 통해서 불러와 보았습니다. 여기서 이미지->이미지 크기 조정을 클릭해 주고 사진 크기를 480*272로 변경을 해줍니다. [내마음대로 리뷰!] - 샤프 전자사전 RD-EM300(Sharp RD-EM300)를 구매했습니다. [소프트웨어 팁] - 샤프 전자사전 RD-EM300 펌웨어 하기 [내마음대로 리뷰!] - 샤프 전자사전 RD-EM300 케이스 그리고 저장 형식은 BMP로 저장하고 그..
Windows 7 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져 있는 Windows Media Center 자동 업데이트 설정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Windows Media Center가 보일 것입니다. 그럼 Windows Media Center 을 실행을 시켜줍니다. 그리고 작업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설정부분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 설정을 눌러주고 진입을 합니다. 그러면 일반 부분을 클릭하면 다양한 화면들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동 다운로드 옵션 부분입니다. 해당 부분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갱신하는 목록이 보일 것입니다. 해당 부분에서 자신이 자동 업데이트를 원하면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체크 해주시고 자동업데이트가 원하지 않으면..
해당 방법은 웬만한 분들은 다 알고 계시는 것이라 별 대단한 팁은 아닙니다. 아마도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마우스를 사용합니다. 가끔 마우스를 사용하다 보면 포인터 속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먼저 시작->제어판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보면 여러 가지 아이콘들이 보일 것인데. 여기서 마우스를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마우스 속성이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마우스 더블클릭 속도 조절, 단추 구성을 통한 왼손 오른손 바꾸기, 포인터 속도 조절 등을 변경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마우스 포인터 옵션을 클릭해 줍니다. 보시면 포인터 속도 선택이라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이 부분을 건드려 주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마우스 포인터 ..
별로 대단한 팁은 아니고 컴퓨터 사양도 자랑할만한 사양은 아니라서 일부 모자이크 처리를 했습니다. 일단 그렇게 별로 사용할 일은 없겠지만. 컴퓨터를 마지막으로 부팅 한 시간이나 컴퓨터를 시작한 지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알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일단 Speccy 프로그램을 내려받기해서 설치합니다. 그리고 나서 실행을 시켜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Operating System을 클릭해 줍니다. 그리고 나서 여러 가지 정보들이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화면을 마우스로 내려가다 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보면 자신 마지막 부팅시간 마지막 전원을 내린 시간 등을 볼 수가 있으면 재부팅 시간 등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펌웨어는 아마도 어느 전자기기든 간에 해두면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편리할 것입니다. 물론 초기 펌웨어를 사용해도 되지만. 그래도 최신 펌웨어를 사용하면 초기 펌웨어보다 안정되게 기타 버그 등을 수정되어서 사용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내마음대로 리뷰!] - 샤프 전자사전 RD-EM300(Sharp RD-EM300)를 구매했습니다. 이번에는 샤프 전자사전 RD-EM300 전자사전의 펌웨어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펌웨어를 진행하려고 하면 필요한 것이 Sharp manager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해당 Sharp MANAGER은 Sharp 홈페이지에서 내려받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해당 Sharp manager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펌웨어 업데이..
저번에는 리얼텍 사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방법에 이어서 이번에는 리얼텍(RealTek) 랜카드(Lan Card)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스크톱이든 노트북이든 간에 인터넷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이 아마도 랜카드(Lan card)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즉 아무리 랜카드가 있더라도 드라이버라는 것이 없으면 동작을 안 하겠죠.리얼텍 [소프트웨어 팁] - 리얼텍 사운드 드라이버(realtek high definition) 업데이트 및 설치하기 먼저 리얼텍(RealTek)홈페이지에서 리얼텍 랜카드 드라이버를 내려받습니다. 보통은 공식 홈페이지에 가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방식, 그리고 운영체제에 맞는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압축파일을 선택해서 진..
윈도우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된 것이 계산기입니다. 저는 윈도우7에 있는 계산기를 활용해서 단위계산 연인들을 위한 100일 계산, D-DAY, 주택 담보 대출, 자동차 연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계산기를 실행을 시켜줍니다. 그러면 계산기 화면이 나오면 여기서 보기 부분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일반용, 공학용, 날짜 계산, 워크시트가 보일 것입니다. 그럼 이 부분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단위계산 부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단위계산이라는 것이 다양한 것들이 있을 것입니다. 각도, 길이, 넓이, 온도, 중량 등 다양한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해서 해당 부분을 실행시켜주면 됩니다. 물론 해당 부분은 휴대폰에도 기본적으로 있는 것도 있고 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이런저런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알게 모르게 원도우가 시작하면서 시작하는 프로그램들이 생길 것입니다. 물론 다른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해당 시작프로그램에서 불필요한 것을 정지시켜서 부팅을 할 때 조금이나 도움이 되게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노턴 인터넷 시큐리티(Norton Internet Security)2012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마도 해당 Norton Internet Security에 있는 기능을 이용해서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을 정지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Norton Internet Security 2012를 실행을 시켜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성능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Norton Internet Security..
리얼텍 사운드 드라이버(realtek high definition)이라고 하면 아마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아마도 해당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가 친숙하게 다가올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럼 해당 사운드 카드의 설치 방법 및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리얼텍 회사에 접속해서 사운드카드 드라이버->high definition 쪽으로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보시면 Excusable file 아니면 zip 파일 등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즉 간단하게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려고 하면 Excutable file를 선택하면 되고 아니면 기존에 설치돼 있으면 zip 파일을 내려받기하시면 됩니다. 저는 zip 파일을 다운로드 했습니다. 해당 zip ..
별로 대단한 팁은 아닙니다. 다만, 굳이 다른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Windows 7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가 32비트 인지 64비트 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시작버튼을 눌러서 내 컴퓨터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서 속성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시스템 부분을 보면 시스템 종류에 보시면 간단하게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확인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가끔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무엇이라고 할까? 컴퓨터 성능을 개선해서 속도를 높이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돈을 들여서 메모리나 CPU 등을 사자고 하니 부담이 되고 그렇다고 하드디스크를 교체할 수 없고 그래서 사용하는 방법이 Ready boost라는 기능입니다. 일단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일단 기본적으로 Windows vista, windows 7을 사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집에 안 쓰는 USB 메모리나 아니면 저는 T-Flash를 사용했습니다. 물론 SD카드 변환하는 것을 사용해서 저는 노트북에 삽입해 두었습니다. 일단 SD카드를 삽입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ReadyBoost라는 것을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만약 ReadyBoost기능이 지원을 하면 아래..
이번에 새로운 파이어폭스가 등장했습니다. 해당 파이어폭스에는 기존보다 메모리, 보안관련해서 개선되어서 출시되었습니다. 물론 출시되어서 갑자기 일부 확장기능이 사라지는 사태가 있었지만. 금방 갱신이 이루어져서 이런 부분은 해결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에 보시면 기존에 주소가 http://로 시작하는데. 해당 부분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이를 복구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주소창에 about:config를 입력시켜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고급기능 사용동의를 하고 접근을 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browser.urlbar.trimurls를 입력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면 해당 부분이 변경되는 것을 볼 수가 있습..
그렇게 대단한 팁은 아니고 최근에 갱신된 노턴 인터넷 시큐리티 2012에서 기존 제품과는 달리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기존에는 UI를 환경설정에서 쉽게 변경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특별한 동작을 한 후에 UI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먼저 노턴 인터넷 시큐리티를 실행하고 아래의 단축키를 눌러주면 끝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동물 버전이 마음에 들더군요. 왠지 아프리카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Shift + 2 = Rays Shift + 3 = Animals Shift + 4 = Floral Shift + 1 = Default background 노턴커뮤니시티
windows 7 에서 시스템 이미지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시스템 이미지라는 것은 windows 백업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하는 드라이브의 똑같은 이미지인 시스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즉 시스템 이미지에는 Windows와 시스템 설정, 프로그램 및 파일이 포함되며 만약 하드 드라이브나 컴퓨터의 작동이 중지되면 시스템 이미지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내용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이미지에는 Windows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드라이브만 포함됩니다. 즉 현재 하드디스크에 포함된 디스크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이미지 파일만 백업했다고 안심하면 큰일이 날 수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제어판에서 백업 및 도구를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
아마도 이 방법은 인식하지 않는 메모리 공간을 활용할 때 정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즉 4기가 설치된 컴퓨터에 3기가만 인식이 될 때 나머지 1기가를 활용해서 임시 폴더 같은 것으로 이용한다면 아마도 시스템 속도를 높일 수가 있을 것입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것은 이동합니다.RAM DISK를 설치하는 것이 것입니다. RAM DISK를 설치하고 난 뒤에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나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Disk Size 부분에서는 자신이 사용할 램 용량을 설정하고 FAT 32로 설정해주면 끝입니다. 그리고 램 디스크를 시작하면 끝입니다.램 디스크 설정을 마친 뒤에는 임시 폴더, 그리고 인터넷 브라우저 임시 폴더를 옮겨주면 됩니다. 디스크로 설정해주면 끝입니..
Adobe Flash player 은 아마도 기본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의 취약성을 악용을 악용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구 버전에서는 Adobe Flash Player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저번에 소개했던 방법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확인을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Security] - Adobe Flash Player 업데이트 확인법 입니다. 최근 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제어판에서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생성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서 진입하면 Flash Player 설정 관리자를 만나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주황색으로 표시하는 부분이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Adobe Flash Player의 현재 버전입니다. 물론 옆에 보면 자동으로..
개인적으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사용자가 아니어서 익스에 대해서는 익숙하지 않지만. 익스(Internet explorer 9)사용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팁이 아닐까 해서 적어 봅니다. 일단 인터넷을 이용하다 보면 Active X를 만나게 되는데. 특히 Active X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이야기할까 편리하지만. 때로는 위험하다고 말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해당 브라우저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이렇게 몇 자 적어 봅니다. [소프트웨어 팁(Software Tip)] - 간단하게 액티브 x(Active x) 삭제 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추적 방지 기능입니다. 추적 방지 기능이란 추적방지 기능은 알 수 없는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차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
별 그렇게 대단한 팁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처음으로 파이어폭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단 도구->설정으로 이동합니다. 보시면 아래와 같이 저장 위치가 나올 것입니다. 여기가 기본적으로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으로 설치하지 않았을 때 다운로드가 되는 장소입니다. 여기서 찾아보기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여러 가지 폴더를 지정할 수 있는 곳이 나오는데. 자신이 내려받기할 곳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주면 2번째 그림처럼 파이어폭스 내려받기 장소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 방법은 알고 계시는 분들은 알고 계시지만. 모르시고 계시는 분을 위해서 이글을 적어 봅니다. 가끔은 동영상에 있는 음원을 추출을 원할 때가 있습니다. 아마도 이러할 때 이용하면 정말 편리한 기능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일단 필요한 것이 다음 팟인코더를 준비합니다. 다음 팟인코더를 이용하면 동영상에 있는 음원을 ogg,mp3파일로 변환을 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해당 동영상에 있는 음원이 다 추출이 되기 때문에. 따로 음원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편집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먼저 다음 팟인코더를 다운로드해서 설치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불러오기 버튼을 누르거나 아니면 동영상 파일을 끌어놓아서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불러옵니다.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는 이유는 조금 이나만 컴퓨터를 단편화를 최적화해서 조금이나 시스템 속도를 높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 이듭니다. 즉 기본적으로 디스크 조각 모음을 통해서 최적화하는 이유 2000/XP 수동으로 돼 있고 비스타에서는 스케줄 기능이 추가되어 자동을 실행되도록 변경이 되어 있습니다.그리고 기본적으로 매주 수요일 오전 1시에 디스크 조각 모음을 통해서 최적화가 이루어지는데. 솔직히 하드디스크 조각 모음은 다른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해당 부분을 꺼버리면 시스템 부팅 속도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분홍색 부분인 예약 실행 부분을 체크 해제하면 디스크 전체가 적용되는..
컴퓨터를 종료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단축 아이콘을 만들고 나서 해당 단축 아이콘을 편집하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컴퓨터가 종료되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보다는 간단하게 원도우즈 전원관리 부분을 설정을 건드려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화면 캡처는 비스타를 사용했지만. 어차피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XP이나 비스타나 원도우즈 7이랑 비슷비슷합니다. 일단은 제어판이나 화면 오른쪽 아래에 시계 있는 부분에 있는 전원관리 부분을 통해서 접근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래 보시는 것이 전원관리 옵션을 통해서 접근한 모습입니다. 이 부분은 운영체제에 따라서 모습을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먼저 파란 화살표가 지시하는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이라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해당 부분을 ..
일단 이 방법은 Windows 7에서도 가능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Windows 비스타(Vista)나 Windows 7이나 인터페이스는 비슷비슷한 느낌이 듭니다.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한번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흔히 파일이나 그림파일 문서 등을 다루다 보면 가끔은 파일을 어디가 보았는지(다 찾는 방법은 있지만요.) 아무튼 자신이 작업했던 파일에 빨리 접근을 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되는 방법입니다. 일단 사용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먼저 내 컴퓨터를 열어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나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화살표가 표시하는 기타부분을 클릭을 해보면 최근에 변경된 파일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아래의 슬라이드 쇼에 첨부한 그림파일 2번째처럼 최근에..
원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아마도 윈도우를 사용을 하면서 가장 친숙한 음악 동영상 재생기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솔직히 저 같은 경우에도 음악 재생전용·동영상 재생 및 TV 수신카드연결로 해서 보는 전용 이렇게 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물론 사용하시는 분들은 사용하고 있지만. 음악이랑 영화를 볼 때 그냥 DVD나 CD를 넣고 음악을 감상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그냥 영화나 음악을 듣는다고 내용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데이터를 확신하게 넣고 보면 아마도 아~영화에서 이런 장면이구나. 음악에서는 이런 음악의 제목을 듣고 있고 장르는 무엇이구나 하고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자~그럼 한번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제가 사용한 영화 DVD는 블랙호크 다운입니다. 일단 해당 DVD를 넣고 미디어..
Windows Mail을 사용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하드디스크를 포맷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백업 전문프로그램을 통한 백업을 하면 이런 과정은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포맷을 하거나 아니면 메일계정정보만 옮기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런 것은 좋은 것에 사용해야 하면 해당 생성되는 파일을 통해서는 계정 아이디 및 비밀번호도 포함되기 때문에.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타인이 해당 파일을 취득 시 자기 자신이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타인도 해당 파일을 등록하면 자신하고 똑같은 메일을 받아 볼 수가 있습니다. 즉 사생활 노출의 우려도 있습니다. 해당 파일은 잘 보관하고 파일삭제 시 반드시 보안 삭제가 필요합니다. 먼저 프로그램을 실행을 시킵니다. 그러..
윈도에서 아마도 편리한 것 중 하나가 바로 가기에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에 보시면 제가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예를 들어 보이겠습니다. 먼저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속성을 열어봅니다. 그리고 아래의 그림처럼 바로 가기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화살표가 지시하는 바로 가기 키 부분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바로 가기 키를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기본적으로 Ctrl+Alt+숫자, Ctrl+Shift+숫자키 조합입니다. 만약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단축 아이콘을 바탕화면 등에서 하나하나 클릭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아래와 같이 단축키를 등록해서 이용한다면 정말 편리할 것입니다. 참고로 비스타 원도 7에서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
프로그램마다 이스트 에그가 있습니다. 즉 프로그램 개발하시는 분들이 재미로 숨겨놓거나 이런저런 의도를 가지고 이스트 에그라는 재미있는 기능을 숨겨두고 있습니다.저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Google) 파카사(Picasa)의 이스트 에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피카사(Picasa)를 통해서 간단하게 사진을 관리하거나 아니면 자신이 찍은 사진을 가지고 공유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구글어스를 활용할 수도 있고요. 저는 우선 피카사의 이스트 에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피카사(Picasa)를 실행시키고 여기서 CTRL+SHIFT+Y를 동시에 눌러줍니다. 그러면 곰 인형이 생기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다시 반복적으로 눌러 주면 곰 인형이 계속 생겨서 화면을 가득 채워줄 것입니다..
비전문가의 글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IPv6는 현재 사용하는 Ipv4가 고갈이 되기 얼마 안 남았기에 나온 통신 규약입니다. Ipv4는 32bit로 이루어져 있고 Ipv6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부족한 어드레스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Ipv6입니다. Windows XP 같은 경우에는 해당 사항이 안되지만, Vista와 이후 버전 에서는 해당이 됩니다. 즉 Ipv6를 해제를 안 해놓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해당 부분을 해제한다면 네트워크 연결 초기 연결 시간을 약간은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은 지금에서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으니 해제를 해놓아서 조금 이나만 연결시간을 줄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시작->제어판->네트워크 ..
자신이 사용하는 안티바이러스 나 방화벽 프로그램들이 평상시에는 윈도에서 잘 인식을 하달 갑자기 인식이 안 될 때 사용하면 되는 방법입니다.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한번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보통은 정상적으로 인식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볼 수가 있습니다. 즉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그런데 가끔 인식을 못 할 때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먼저 시작->제어판->관리 도구->서비스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것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을 찾습니다. 그리고 더블 클릭을 합니다.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먼저 중지 버튼을 눌러 줍니다. 그리고 나서 시작유형에 ..
비전문가의 글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실 것 지만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먼저 내 컴퓨터로 이동해 보면 아래와 같이 CD롬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해당 부분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속성을 눌러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자동 실행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수행할 작업 선택과 작업을 선택할 때마다 묻기 버튼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보면 음악 파일이라는 곳을 보면 열어 보면 그림 비디오 음악CD 비디오 CD DVD 동영상 HD DVD 영화 혼합된 콘텐츠 등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수행할 작업 선택에서 아무것도 작업을 안 함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즉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컴퓨터와 연결했을 때..
일부 글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웹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Outlook Express 나 아니면 모질라 썬더 버드 등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저는 임의의 파일을 선택하겠습니다. 파일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여기서 보내기-> 편지 수신자를 눌러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현재 사용하는 메일 프로그램이 기동이 되면서 자동으로 파일이 첨부된 것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저는 개인적으로 모질라 썬더 버드를 이용하는 관계로 아래와 같이 기동 되었습니다. 기동된 화면을 보면 첨부 파일이 자동으로 들어 가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받는 사람 주소를 넣어주고 다음은 제목을 변경 본문 글을 적어 주고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