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꾸는 파랑새

반응형

먼저 해당 글은 비 전문가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가 있습니다. 일단 뉴스 같은 것을 보다 보면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이라는 말을 들을 수가 있습니다. 일단 보이콧이라는 것은 그냥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다른 사업에 압력을 가하여 특정 사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으며 A그룹에 대한 불만이 있다고 가정 보겠습니다. 또한, B가 A의 주요 공급 업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불만이 있는 그룹이 B 회사에 그것이 회사와의 거래를 중단하지 않는 한 대중과의 거래를 중단하라고 설득한다면 B에 대한 불매 운동은 2차 불매 운동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매 운동의 의도 된 효과는 주요 공급자에 대항하여 조직함으로써 A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국가 간에 가에 가서 적용하면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은 다음과 같이 정의를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가장 잘 사용하는 국가가 미국입니다. 예를 들어서 미국이 이란하고 사이가 안 좋을 때 해당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은 자주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뉴스에서 한 번씩 나오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유엔 제제를 위반하는 A라는 국가가 있다고 생각을 해 봅니다.

해당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은 제재되는 국가와 경제적인 거래를 하는 제3국의 기업이나 금융기관까지 함께 제재하는 것을 말을 합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과거 미국이 이란에 적용했으며 해당 국가와 거래하는 미국 기업뿐 아니라 개인, 단체, 기관 등 이들과 거래하는 제삼자까지 금융제재 대상에 포함하는 포괄적인 제제를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제재대상이 되는 국가와 거래하는 자국 기업이라고 해당 해당이 됩니다. 즉 세컨더리 보이콧은 제재 대상이 된 국가와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제3국이나 기업, 금융기관, 개인까지 제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A라는 기업이 제재하는 국가가 있으면 아무런 관련이 없는 장난감이라도 수출을 해도 미국 금융기관 이용을 금지하고 미국과 거래할 수 없게 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고 해당 미국과 거래를 하는 은행 등에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즉 미국은 이란 핵 문제 때문에 한번 사용을 해서 성공을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 사용했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이란은 다른 산유국처럼 석유수출로 먹고사는 국가인데 해당 수출을 막아 버렸고 이래서 국제시장에서 고립되었으며 2010년에 시작을 해서 2015년에 승리를 하게 됩니다. 즉 경쟁 관계에 있는 사업자가 공동으로 자기의 거래 상대방에 대하여 자기와 경쟁 관계에 있는 사업자와의 거래를 거부하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