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17년 Cisco Talos 연구원이 처음 발견했으며, 2014년부터 탐지되지 않은 채 고도의 타깃 공격으로 하는 북한의 해킹 단체 Thallium, APT37과 관련된 해킹 단체이며 Kimsuky(김수키)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chm 확장자로 돼 있으며 해쉬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chm은 Microsoft Compiled HTML Help는 HTML 페이지, 색인 및 기타 탐색 도구로 구성된 Microsoft 독점 온라인 도움말 형식 모음입니다. 파일명 1.chm 사이즈:225 KB CRC32:081d4f34 MD5:320d2e841d145f48f513eba516c1e796 SHA-1:c7f303dc0afef28d9d5828eab0aad7ffe04299f9 ..
오늘은 스마트폰 최적화 앱을 위장하는 악성코드인 EasyCleaner 에 대해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삼성 스마트폰 같은 것은 경우에는 디바이스 케어 라는 기능이 있어서 쉽게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금 더 기능이 많은 스마트폰 최적화 앱을 원하시는 분들은 별도로 해당 앱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에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일부 앱 들은 악성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하나인 EasyCleaner 에 대해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일단 구글 플레이 스토어 에서 유포된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easy.clean.ipz&ref=apkcombo.com 물론..
오늘은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형식의 악성코드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습니다. 일단 해당 악성코드는 자료.zip로 구성이 돼 있고 그리고 압축파일 안에는 자료 보시고 회신 부탁합니다.최신자료(안내자).rar로 돼 있으면 해당 압축을 풀었을 때 도움말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으면 해당 해쉬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명:Guide.chm 사이즈:62.2 KB CRC32:590ec4b3 MD5:3ae6503e836b295955a828a76ce2efa7 SHA-1:d08315c8c93aca7816875c11583b1147878ab8ac SHA-256:8672acfb06258f5b6dec3700cd7f91a0c013a70a9664dbc6cf33a4c6406756ed chm 파일은 컴파일된..
오늘은 몸캠을 통해서 개인정보를 탈취 하는 몸캠피싱인 하윤.APK 간단 분석을 해보겠습니다.일단 유포 방식은 다음과 같이 압축파일에 첨부해서 악성코드가 유포가 되면 해당 악성코드를 설치를 하고 실행을 하는 순간 개인정보가 털리는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은.rar->하윤.apk 앱 제목은 영상 입니다.그리고 왠 젊은 여성 분 께서 바니? 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아이콘 이고 아마도 이렇게 해서 낚기 위한 걸로 판단이 됩니다. 악성코드 해시값 MD5:75a396f1a2b017f221276a85a2f83594 SHA-1:93041375ea9556b1849bd314345cc88e63cad24c SHA-256:bc914db2229cd5faea39a6e68c2dd421258a74f6d7652fffe785f7f07..
오늘은 건강검진 사칭 스미싱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검진모아(2020.11.27)에 대해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해당 악성코드는 건강검진들 사칭하는 문자를 무작위로 보내서 사용자가 해당 앱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설치하고 실행을 하면 동작을 하는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입니다. MD5:25b7b8fe341170fd812bd6a4e031d7d6 SHA-1:2f31f9b8ac3f77af99b1b823172b768915002668 SHA-256:2f50e306d8cf2674d7b7ff304c29e8636fa24d6099ee86eb297aa7477bb71522 일단 해당 악성코드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permission.INTERNET android.permission.READ_PHO..
오늘은 건강검진 사칭 스미싱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검진모아(2020.11.23)에 대해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해당 악성코드는 건강검진들 사칭하는 문자를 무작위로 보내서 사용자가 해당 앱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설치하고 실행을 하면 동작을 하는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입니다. md5:21ff5cc4b6b41f32bbded713c3f0c30d sha1:c2573b88102fd71d574264d43c0ceffea3b2488d sha256:ebb760630bea0b4820650e09725f3e78ff80b0240e0ebec158156472a9c4930e 일단 해당 악성코드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permission.INTERNET android.permission.READ_PHONE..
오늘은 건강검진 사칭 스미싱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검진모아(2020.10.20)에 대해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해당 악성코드는 건강검진들 사칭하는 문자를 무작위로 보내서 사용자가 해당 앱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설치하고 실행을 하면 동작을 하는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입니다. MD5:d0b1f2e9a85874f1afe5dc7df6f2b112 SHA-1:63eaf9b9ca2242cc48e72065a3dae682d1a53dc9 SHA-256:62dbee40e98e83e000ab9a9e6f352fc8ef0a5645034300dc1fc82e0fc45340fc 일단 해당 악성코드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permission.INTERNET android.permission.READ_PHO..
오늘은 일단은 개인적으로 악성코드 분석을 잘하지 못하니까 일단 이해를 먼저 부탁하겠습니다. 공유기를 해킹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기존에는 원도우의 Hosts(호스트) 변조를 하는 것보다 더 발전한 공유기 해킹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유기 같은 경우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기기들이 연동이 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가 있겠지만, 공유기 해킹이 당하는 순간은 개인정보 유출은 정말 심각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공유기 해킹은 공유기의 취약점을 이용한 DNS 변조 방식에서 공유기와 기타 네트워크 기기들의 정보를 개인정보를 훔쳐가고 있습니다. 즉 공유기를 해킹하려면 CSPF 취약점을 이용한 DNS 변조 방식, 공유기의 외부 접속 보안에 있는 원격관리 포트를 악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
Locker이라는 랜섬웨어는 작년에 발견된 랜섬웨어 이지만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랜섬웨어 입니다. 일단 거의 모든 안티바이러스에서 해당 랜섬웨어 탐지를 할 수가 있습니다. 일단 해당 Locker이라는 랜섬웨어는 2015년 5월에 발견이 되었으면 해당 랜섬웨어는 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8, Windows 10에서 작동하는 악성코드입니다. 해당 핸섬웨어에 감염이 되면 일단 기본적으로 특정 파일 확장자에 대한 모드 드라이브를 스캔을 시작하고 AES암호화를 진행을 하고 해당 암호화가 성공을 하면 가상화페인 비트코인을 요구를 시작하면 해당 요구는 72시간이 지나고 나면 사용자에서 몸값을 지급하지 않았으니 몸값은 1비트 코인을 올려버립니다. 그리고 ..
바이러스토탈(VirusTotal)은 컴퓨터 보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웬만하면 다 아실 것입니다. 해당 바이러스토탈(VirusTotal)은 무료로 의심스러운 파일을 검사할 수 있는 바이러스체크서비스(ウイルスチェックサービス)입니다.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의심스러운 파일과 의심스러운 URL을 검사할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다양한 41가지 보안업체의 엔진을 사용해서 검사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가지는 안티바이러스(anti virus software,アンチウイルスソフトウェア)를 통해서 검사할 수가 있어서 자기 안티바이러스(anti virus software,アンチウイルスソフトウェア)가 오진을 하는지 아니면 미검출 되는지를 알 수가 있어서 자신이 사용하는 안티바이러스(anti virus software,アンチ..
컴퓨터 보안에 관심이 있다면 악성코드에 관심을 끌게 될 것입니다. 만약 어떤 사이트에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을 때 행동은 아마도 보통 일반인들은 아~내가 사용하는 안티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는 감지 안 된다. 성능이 안 좋다는 생각과 어~바이러스토탈 에는 다른 보안업체에서는 진단하는데. 나는 진단 안 되네. 일단 내가 보안업체에 신고해야지 하는 유형 아니면 일단 신고까지 완료되었고. 이제 한번 분석을 해보고는 싶은데. 능력은 안 되겠고 이러할 때 이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일반사용자는 그냥 보안업체에 신고해서 하루빨리 보안업체가 진단되게 해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TheatExpert는 Pctools에서 운영하는 있는 서비스입니다. 현재는 시만텍(Symantec)에 인수돼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