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단하게 램 불량(메모리 불량)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마도 메모리(램)일 것입니다.
램(RAM)은 아마도 잘 사용을 하던 컴퓨터가 갑자기 블루 스크린, 자주 컴퓨터가 멈추는 현상이나
자신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메모리(램, RAM)를 구매를 했을 때 해당 메모리에 불량인지 불량이 아닌지 궁금할 때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분들에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단은 기본적으로 원도우 비스타(Vista),윈도우 7에서는 기본적으로 메모리 검사기능 즉 램(RAM) 검사기능이 포함돼 있습니다. 일단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시작->검색 부분에 메모리라고 입력을 해도 되고 MdSched라고 적으면 간단하게 메모리 검사 부분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다시 시작하여 문제 확인을 통해서 원도우가 재부팅을 한 후 원도우에서 실행을 하는 방법, 아니면 윈도우가 시작하기 전에 해당 메모리 검사 부분을 불러와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은 간단하게 운영체제 부팅을 할 때 Tap 키를 눌러주면 부팅 관리자 화면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해당 부팅 관리자 화면을 보시면 메모리 검사 부분이 보일 것입니다. 해당 부분을 클릭해서 메모리 검사(램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느 것을 선택하든 사용자가 편한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F1 버튼을 눌러주면 테스트 목록, 설명 등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표준으로 선택해서 사용해도 그렇게 무리 없이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Tap를 사용해서 다른 항목을 설정 부분으로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은 테스트 목록, 캐시, 테스트 횟수(0~99)를 선택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로그온을 하면 자동으로 메모리 검사(램 검사)결과를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메모리를 청소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적어 보겠습니다. 일단 자신의 메모리(RAM) 정도는 간단하게 청소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두면 나중에 필요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단 컴퓨터를 본체를 열어봅니다. 노트북 사용자는 간단하게 메모리가 삽입된 부분을 드라이버를 열고 덮개를 열고 보면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램이 꽂혀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간단하게 양옆에 있는 슬롯을 벌려보면 메모리(램) 쉽게 램(RAM)을 뺄 수가 있을 것입니다. 램을 청소하기 위해서 간단하게 준비물인 지우개만 있으면 끝입니다.
그리고 램에 보시면 금색으로 된 곳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가 컴퓨터하고 접촉되는 부분입니다. 해당 부분을 간단하게 지우개를 열심히 닦아줍니다.
그리고 메모리를 다룰 때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작업하지 말고 될 수 있는 대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곳에서 작업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 메모리를 나서 자신이 뽑은 램 방향을 잘 기억하고 나서 그대로 삽입해주시면 됩니다. 아마 반대로 삽입하면 탄 냄새가 날것입니다. 그러니 방향을 주의하면서 역순으로 램을 삽입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전원버튼은 내려놓고 하시길 바랍니다.
<기타 관련 글>
[소프트웨어 팁(Software Tip)] - 컴퓨터에서 시스템 정보 보기로 간단하게 자신의 컴퓨터 사양 확인하기
'소프트웨어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Live 메일로 RSS구독하는 방법 (0) | 2013.05.28 |
---|---|
인터넷 익스플러워 작동이 중지 되었습니다.해결방법 (0) | 2013.05.24 |
Advanced SystemCare 터보부스트로 컴퓨터 최적화 하기 (0) | 2013.05.17 |
Windows Live 메일(윈도우 라이브 메일) 메일 설정 및 보안 설정하기 (0) | 2013.05.11 |
유무선 공유기와 스마트폰 연결해서 집에서 와이파이(wi-fi)사용하기 (2) | 2013.05.01 |
자신의 트위터(Twitter)맨션 백업 하기 (0) | 2013.04.19 |
유무선 공유기에서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설정 하기 (0) | 2013.04.10 |
유무선 공유기에서 VPN(Virtual Private Network) 환경 만들기 (0) | 201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