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가 설치돼 있습니다. 솔직히 이것을 잘 이용은 안 합니다. CD에서 MP3 같은 음원을 추출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마다 틀리겠지만. itunes 나 Real Player 아니면 winamp 제가 알고 있기에는 네로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자~이제 기본적으로 설치된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를 가지고 한번 음원을 추출해 보겠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음악 CD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난 뒤 CD롬에 넣고 미디어 플레이어를 기동시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조금은 화살표가 표시하는 것처럼 정말 단순합니다. CD 표지도 없고 너무 촌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러면 한번 변경을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진행이 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저는 여기서 검색 부분에서 기존 정보를 지우고 ZARD를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검색을 했습니다. 그러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즉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CDDB정보를 가져 옵니다. 그리고 음악가 하는 곳에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클릭을 하고 진행을 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기타 옵션으로 이동해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음악 리핑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리핑할 폴더 위치와 그리고 리핑 설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지원하는 형식은 MP3 WMA 방식입니다. 여기서 잠시 보면 보호설정이 있습니다. 보호 설정이란 WMA 파일에 리핑한 음악 파일을 복사하거나 동기화할 때 미디어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재생할 때도 말이죠. 즉 다른 컴퓨터에 다운로드 할 경우 미디어 권한이 필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물론 다운로드 제한도 걸리지요. 해당 음악을 배포를 제한하기 위하면 필요하지만. 배포하는 순간 불법이겠죠! 그러니까 체크 해제하고 그냥 혼자 MP3 재생기 PMP 같은 곳에 넣을 목적으로 이용하라는 말이죠.
그리고 CDDB에 대해 몇 자 적어 보겠습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음악CD에 보면 곡 연주나 가수 작곡가 제작 연도 등의 음악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수록한 정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AM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MG는 all music이라는 약자입니다. 즉 allmusic.com이죠.
즉 미디어 플레이어 는 AMG 자료를 사용하고 있고 아이튠스 같은 경우 에는 graceno 자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리얼플레이어 같은 경우는 11버전 이하는 AMG입니다. 일부 글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파카사를 활용해서 나만의 다중 노출 이미지 만들기! (0) | 2009.11.23 |
---|---|
비스타 파일삭제 문제 해결하기! (6) | 2009.11.21 |
애니게이트 GW-1000A MAC으로 원하지 않는 접근 차단하기 (2) | 2009.11.20 |
Anygate(애니게이트) 공유기 펌웨어 하기(Gw-1000A) (3) | 2009.11.05 |
원도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 음악 CD 굽기!! (10) | 2009.10.21 |
노트북 배터리 절약 방법이 아닐까요? (0) | 2009.10.16 |
다음 팟플레이어에서 HD TV 녹화 방법입니다. (0) | 2009.10.10 |
Sandboxie 3.40에서 관리자 설정 암호걸기 (0) | 200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