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전문가의 글이므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USB 메모리 카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USB 메모리 카드 같은 것을 많이 사용하지만. 사람들은 보안 프로그램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으로 솔직히 보안프로그램도 반드시 설치를 해야 하고 실시간 감시 기능을 해놓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보안프로그램 읽지라도 상황에 따라서 못 잡을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즉 USB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면서 미리 조심하는 것이 어떠할까 생각합니다.
1.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아마도 이러면 일차적으로 USB를 통한 악성코드를 어느 정도 막을 수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무료 프로그램 중에서는 V3 Lite 버전과 Avast Avira등 무료로 많은 제품이 있습니다. 유료로 결재해서 사용하고 싶은 분들은 유료로 결재해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2. 출처 불명의 USB를 사용하지 않는다 입니다. USB를 사용하더라도 출처 불명의 USB를 꽂으면 아무래도 감염될 확률이 올라가겠죠.
3. 신뢰하지 않는 컴퓨터나 무분별하게 이런저런 컴퓨터에 USB를 꽂지 않아야 하겠죠. 아마도 이렇게 한다고 하면 당연히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도 있고 아니면 그 반대로 USB에서 해당 컴퓨터로 감염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일반 사용자들은 오토런를 편리해서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하는데. 해당 부분을 이용하지 않고 조금은 불편하더라고 탐색 기능을 활용해서 USB에 접근하는 것이 안전하겠죠. 아니면 차라리 해당 부분을 없애 버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저번에도 소개해준 스페인 보안회사인 판다에서 제작한 USB Vaccine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Panda Vaccin
*[Software] - 오토런(Auto run)을 정지 시키는 방법입니다.
*[Software] - 비스타에서 Autorun 수동으로 무력화 시키는 방법입니다
1.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아마도 이러면 일차적으로 USB를 통한 악성코드를 어느 정도 막을 수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무료 프로그램 중에서는 V3 Lite 버전과 Avast Avira등 무료로 많은 제품이 있습니다. 유료로 결재해서 사용하고 싶은 분들은 유료로 결재해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2. 출처 불명의 USB를 사용하지 않는다 입니다. USB를 사용하더라도 출처 불명의 USB를 꽂으면 아무래도 감염될 확률이 올라가겠죠.
3. 신뢰하지 않는 컴퓨터나 무분별하게 이런저런 컴퓨터에 USB를 꽂지 않아야 하겠죠. 아마도 이렇게 한다고 하면 당연히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도 있고 아니면 그 반대로 USB에서 해당 컴퓨터로 감염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일반 사용자들은 오토런를 편리해서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하는데. 해당 부분을 이용하지 않고 조금은 불편하더라고 탐색 기능을 활용해서 USB에 접근하는 것이 안전하겠죠. 아니면 차라리 해당 부분을 없애 버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저번에도 소개해준 스페인 보안회사인 판다에서 제작한 USB Vaccine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Panda Vaccin
*[Software] - 오토런(Auto run)을 정지 시키는 방법입니다.
*[Software] - 비스타에서 Autorun 수동으로 무력화 시키는 방법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소프트웨어 팁 > 보안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ck Time 버퍼 오버플러우 취약성 발견 (1) | 2010.01.20 |
---|---|
Adobe Reader/bat 9.3버전 업데이트 (2) | 2010.01.13 |
파이어폭스 공격 사이트 경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0) | 2010.01.13 |
트랜드 마이크로에 악성코드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2) | 2010.01.08 |
인터넷 뱅킹 이용시 하기전에 이거만은 기억하면 좋을것 같은것입니다 (6) | 2009.12.18 |
어도비 리더/bat 제로데이 취약성 발견! (2) | 2009.12.16 |
호스트(hosts)설정 변경으로 사이트 차단하기! (0) | 2009.12.14 |
특정 악성코드만을 제거하고 싶을때 사용할수 있는 MRT(원도우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2) | 2009.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