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앱체크(AppCheck)에서 제공을 하고 잇는 랜섬웨어방어프로그램인 앱체크(AppCheck) 안티랜섬웨어에 악성코드 의심파일 신고 및 오진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일단 기본적으로 백신프로그램을 사용을 하다보면 기본적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악성코드가 포함돼 있는지 의심스러울 수가 있고 오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때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취할 수가 있는 행동은 기본적으로 해당 보안 업체에 의심파일 및 오진 파일을 신고해야 자신이 사용하는 것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해당 부분에 대해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단 앱체크(AppCheck)은 기본적으로 CheckMAL(체크멀)에서 만든 제품으로 일단 기본적으로 한국어, 일본어, 영어를 지원하면 그리고 Windows..
먼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악성코드 감염 등에 신경이 쓰일 것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윈도우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자신이 다운로드한 파일이 의심스러우면 기본적으로 바이러스 토탈에서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토탈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물론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백신프로그램 엔진을 사용해서 파일 분석을 한결 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물론 바이러스토탈을 통해서 검사를 통해서 해당 파일을 악성코드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겠지만, 문제는 바이러스 토탈에서 올린 파일이 회사 기밀이 유출될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이메일 전문이 아니고 파일만 올려주면 됩니다. 그러나 바이러스 토탈이라고 해도 아직 발견이 되지 않은 악성코드일 경우에는 당연히 검색이 안 될 것이고 바이러스 토탈은 엔진으로만 ..
먼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악성코드 감염 등에 신경이 쓰일 것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윈도우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자신이 다운로드한 파일이 의심스러우면 기본적으로 바이러스 토탈에서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토탈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물론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백신프로그램 엔진을 사용해서 파일 분석을 한결 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물론 바이러스토탈을 통해서 검사를 통해서 해당 파일을 악성코드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겠지만, 문제는 바이러스 토탈에서 올린 파일이 회사 기밀이 유출될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이메일 전문이 아니고 파일만 올려주면 됩니다. 그러나 바이러스 토탈이라고 해도 아직 발견이 되지 않은 악성코드일 경우에는 당연히 검색이 안 될 것이고 바이러스 토탈은 엔진으로만 ..
해외보안업체중에서 Bitdefender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최근에 울지 않는 벌새 님 글을 보고 Bitdefender Traffic Light에서 블로그를 차단한다는 글을 본 후 개인적으로 한번 Bitdefender Traffic Light를 설치해서 한번 제 블로그에 접속을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도 Bitdefender TrafficLight에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이트로 등록돼 있어서 나름 조치를 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개인적으로 Bitdefender TrafficLight를 설치를 하고 피드백을 통해서 문의했지만,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서 조금 더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구글 검색을 통해서 간단하게 Bitdefender에 오진을 신고 접수를 하는 곳을 찾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무료로 제공되면 강력한 방화벽과 안티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를 설치된 Comodo Internet Security(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에서 악성코드와 오진 정정을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적어 보겠습니다. 보통 오진(False Positive)이나 자신이 사용하는 백신프로그램(안티바이러스프로그램)에서 미진단을 하면 대부분 처리하는 방식이 오진이면 검사에서 제외처리를 하고 미검출일 경우 검출되는 다른 백신프로그램(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으로 설치합니다. 물론 사람이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니 악성코드 샘플이 미접수되었거나 미수집이 된 경우,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니 실수로 악성코드로 오진할 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쩔 수가 없는 일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이런 방법은 수동적인 대처가 될것입니다..